전체 글

· JAVA 공부
오늘 자바시간에는 시작으로 논리 연산자,논리 이항 연산자로 시작하였다. 논리 연산자란 서로 다른 boolean 연산하여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 낸다. 대표적으로 and(&&),or( || ), not( ! )이 있다. and (&&)연산자는 두개의 조건을 비교했을때 둘다 참일때 true를 출력하다 or ( || )연산자는 둘중 하나의 조건만 충족하면 true를 출력한다. boolean flag = (num%2 == 00) && (num1%3 == 0) boolean flag = (num%2 == 00) || (num1%3 == 0) 이런식으로 사용가능하다. and조건은 JSP에서 이런식으로 사용가능하다. for(int i = 0; cookies != null && i= 20 ? "성인" : "미성년자"; ..
· JAVA 공부
2023년 3월 8일부터 자바웹 개발자 국기과정이 시작되었다. 오늘 배운내용은 자바의 가장 기초인 변수이다. 가장 기초적인 개념은 연산자이다. 연산자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값을 계산/처리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 혹은 단어이며 그대표적인것중 산술연산자가 있다. 산술연산자에는 =, +=, -=, *=, /=, %=이 있다. 숫자끼리 더하면 덧셈을 수행하고, 문자열이 포함되면 이어붙이기(append)를 수행한다. + 연산자는 오버로딩 되어있다(하나의 기호가 상황에 따라 다른 작동을 할 수 있다.) >>오버로딩이란 원래 한 클래스 안에서는 같은 변수를 사용할수 없는 것이 정상이겠지만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같은 이름의 변수를 지정해도 문제없이 작동시킬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조건) 1. 메서드의 이름이 같아야 ..
(1)삼항연산자(=조건연산자) 항(operand)이 1개 이거나 2개인 경우만을 살펴보았을때 삼항 연산자는 항이 3애인 연산자를 의미한다. 조건 ? 수식1 : 수식2 사용형식에서 1의 조건이 참이면 2번을 수행하고 거짓이면 3번을 수행한다. -예제1- #include void main(){ int x, y, z; x = 10; y = 20; z = ( x > y ? x : y); printf(" x > y ? x : y 의 결과 -> %d \n", z); z = ( y > x ? x : y); printf(" y > x ? x : y 의 결과 -> %d \n", z); } 예제2 #include void main(){ int x, y; x = ( y = 20, y + 1 ); y변수에 20을 넣고 pri..
기호 = 에 의한 연산을 치환(Assignment)이라고 하며, 치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같이 기호 =을 기준으로 왼쪽(LEFT)은 L-value라고 하고, 오른쪽(RIGHT)은 R-value라고 한다. L-value는 저장능력이 있는 변수와 같은 기억장소이고, R-value는 값을 의미하는 변수, 값, 수식이 온다. 즉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기억공간에 넣어라‘라는 의미이다. 치환 연산을 하게 되면 당연히 연산하기 이전에 기억되었던 내용은 사라지게 된다. 예제 #include void main(){ int num=11; num이라는 변수에 11을 넣고 초기화 printf(“num의 값은 : %d \n”, num); num = 100; num이라는 변수에 100을 넣고 초기화 printf(“n..
(1) 쉬프트 연산자 비트를 이동시키는 연산자로 오른쪽으로의 이동과 왼쪽으로의 이동하는 두 가지 종류의 방식이 있다. 연산자 뜻 예 의미 >> 오른쪽으로 이동 5>>2 5의 이진수표현에서 오른쪽으로 2칸 쉬프트 2 5를 오른쪽으로 비트2개를 이동하라 printf("%d \n", c); } 결과 1 5의 이진수는 0 0 0 0 0 1 0 1 오른쪽으로 2칸 이동 0 0 0 0 0 1 0 1 0 1 은 칸을 넘어가서 사라진다 ▽ 0 0 0 0 0 0 0 1 1의 이진수 예제2 #include void main(){ int a, b, c; a = 5; b = 2; c = a > 2 5를 오른쪽으로 비트2개를 이동하라 printf("%d \n", c); } 5의 이진수는 0 0 0 0 0 1 0 1 왼쪽으로 2..
(1 )과계연산자 예제1 #include void main(){ char a,b,c; a = 'A'; 아스키코드 65 b = 'B'; 아스키코드 66 c = a > b;① 65>66 printf("%d \n", c); c = a 66 printf("%d \n", c); c = a == b;③ 65==66 printf("%d \n", c); c = a != b;④ 65!=66 같지않다 printf("%d \n", c); } 결과 0 1 0 1 ***char형 변수의 크다,작다를 비교하는 의미는 그 문자의 아스키 코드 값을 비교하는 것이다.*** (1) 논리연상자 C언어의 논리연산자 종류는 &&,||,! 으로 각각 논리의 AND,OR,NOT을 의미하며, 논리의 이 AND,OR,NOT이 의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