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에서 미니프로젝트도 끝나고 드디어 스프링 프레임워크과정이 시작되었다. 이때까지 JSP만으로 웹개발을 해왔었다 보니 JSP로 하는 개발은 상당한 허튼짓이라는 느낌이 들 정도로 스프링의 자동매핑기술은 놀라울 다름이었다. 하지만 아직 초급단계라 파라미터의 흐름은 더 공부해야할 부분이긴 하다. 그럼 오늘은 까먹기전에 Spring의 초기세팅방법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한다. 우선 환경변수는 이미 설정을 했을 것이라 생각하지 패스하고 JSP에서 사용하던 이클립스 파일을 그대로 복사하여 사용한다. 이 클립에서 들어가면 MarketPlace로 들어가서 Spring Tools 3을 설치한다.(다른 거 만지지 말고 끝까지 설치) 설치가 끝났다면 이제는 톰캣서버를 등록해주고 코드를 UTF-8로 변경을 해 줘야 한다. 메뉴바..
학원에서 만든 스터디그룹은 아직도 꾸준히 하고있다. 나를 제외한 모든사람들이 정말 잘하는 사람들이라 나도 동기부여를 받으며 악으로 깡으로 만들어보고 있다. 이 스터디는 무언가를 배우는것보다는 직접 만들어보고 피드백을 받는것이 주 목적이다. 당연히 모르는것이 있으면 주위사람들에게 물어볼수도 있으니 나에게는 득밖에 없는 그룹이다. 그럼 이번에 만든 키오스크 홈페이지를 설명해 보려고한다. --------------------------------------------------------header.jsp-------------------------------------------------------- 구매리스트 ${bas.product} X ${bas.cnt} ₩${bas.price} 전체삭제 지불금액: ..
오늘은 학원에서는 싱글톤 개념에 대해서 다양하게 배우고 있다. 일단 오늘은 싱글톤을 이용한 파일입출력에 대하여 기록해 보도록 하겠다. 일단 파일업로드를 하기 위해서는 http://www.servlets.com/cos/ 이 사이트에서 cos.jar이라는 파일을 프로젝트의 lib폴더에 넣어줘야 한다. 목록 추가 ----------------------------------------------------- header.jsp ----------------------------------------------------------------- 우선 header파일이다. 여기서는 jstl을 사용하기 위해서 taglib를 설정하고 cpath, dao의 싱글톤 인스턴스, 파일을 유지하기 위해서 FileUtil이라는..
최근 국비학원에서 쿠키에 대한 내용을 들어갔다. jdbc에 들어간 지 며칠 된 것 같지도 않은데 정말 빠르게 느껴진다. 강사님도 jdbc로 홈페이지를 만들때 파라미터의 이동이 익숙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셔서 최근은 비슷한 주제로 무한반복해서 만들게 하신 결과 어느 정도 파라미터의 이동에 익숙해져 잊기 전에 정리해보려고 한다. day08_member DB : ${dao.test() } 전체목록 추가(가입) ///////////////////////////////////header.jsp ///////////////////////////////// 우선 header이다. 이 파일은 모든 jsp코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코드를 미리 입력해 놨다가 이런 식으로 불러올 수 있다. 즉 위와 같이 써놓으면 j..
See the Pen Untitled by wogh0424 (@wogh0424) on CodePen. 위 코드는 최상위 클래스가 position:absolute 그 아래 parent클래스가 relative item2가 absolute가 걸린 상태이다. 이렇게 되면 최상위 클래스는 고정된 상태에서 parent클래스는 최상위 클래스에 들어있는 상태로 기본값이니 딱히 변화는 없다. 그저 relative상태에서 margin-top을 주면 현재 위치에서 margin값만클 간격을 뛰울것이다. 정리가 필요한 태그만 모아보자면 padding : 박스의 사이즈를 키우는데 안쪽에 원래사이즈의 투명한 박스가 있고 padding값만큼 넓어지는 느낌이다. margin : 상위클래스가 absolute고 종속상태인 클래스가 rel..
최근 학원에서 jsp의 파라미터(값)를 보내고 받는 내용에 대해서 배우고 있다. 보통 CRUD에서 많이 쓰기이 때문에 값이 어디서 어디로 가는지 편지처럼 흐름을 모르면 끝도없이 어려워지는 내용이다. 원래 학원커리큘럼 순서상 get/set parameter로 시작해서 EL태그 useBean 을 거쳐서 JSTL을 배우지만 오늘은 까먹기 전에 JSTL부터 정리해 보려고 한다. 우선 jstl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의 WEB-INF > lib폴더에 ojdbc.jar파일과 jstl.jar이라는 파일이 필요하다. 아래 코드는 상품을 등록, 목록확인, 상품쪽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색이 변하여 판매여부를 보여주는간단해 보이지만 쉽진 않은 코드이다. Insert title here 목록 위 코드는 header로 각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