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제
#include<stdio.h>
void main(){
float x = 13.579;
printf("12345678\n");①.
printf("%f\n",x);② %f¥n은 소숫점6자리까지 채운다
printf("%8.2f\n",x);③ 8.2는 8칸잡아서 소숫점 2자리까지 오른쪽부터 채워나간다.
printf("%-8.2f\n",x);④ 왼쪽부터 8칸은 채워나간다
printf("%08.2f\n",x);⑤ 08.2는 8칸잡고 빈칸은 0으로 채운다
}
결과
12345678
13.579000
13.58
13.58
00013.58
(1)입력 서식을 가지는 입력 함수 - scanf()
표준 입력 장치인 키보드로부터 여러 가지 자료형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이용하는 함수로, 서식을 가지는 입력함수
scanf()의 함수의 원형은 stdio.h에 정의 되어 있으므로 #include(stdio.h)윗쪽에 써줘야한다.
scanf()함수의 사용 형식에서 변수가 여러 개 올 수 있는데, 중요한 것은 기호 &가 온다는거다.
(2)문자형 서식
키보드로 문자 1개를 읽어 들일때는 %c를 사용한다.
예제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stdio.h>
void main() {
char ch;
puts("문자 1개를 입력하시오");
scanf("%c", &ch);
printf("입력한 문자는 %c입니다\n", ch);
}
(1)정수형 서식
키보드를 정수로 읽어 들일 때의 문장으로 서식 %d을 사용하며, 변수 앞에 기호 &을 붙인다.
%d%d이므로 두 개의 정수를 읽어 들여 printf()문장을 이용해 더한 값과, 두 개의 정수를 곱한 값, 두 개의 정수의 차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때 두 개의 읿력 값은 enter키나 공백으로 구분된다.
예제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stdio.h>
void main(){
int x, y;
puts("숫자 2개를 입력하시오");
scanf("%d%d",&x, &y);
printf("입력한 숫자는 %d 와 %d입니다.\n", x, y);
printf("입력한 숫자의 합은 %d 입니다.\n", x + y);
printf("입력한 숫자는 곱은 %d입니다.\n", x * y);
printf("입력한 숫자의 차는 %d입니다.\n", x - y);
}
(1)실수형서식
키보드를 실수형 데이터를 읽어 들일 때의 문장으로 서식 %f을 사용하며(%e나 %g를 사용 할 수도 있다. 그러나 %f가 주로 사용된다)
변수 앞에 기호 &을 붙인다.
예제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stdio.h>
void main(){
float kor, eng, mat, ave;
puts("숫자 3개를 입력하시오");
scanf("%f%f%f",&kor, &eng, &mat);
printf("입력한 점수는 %f , %f, %f입니다.\n", kor, eng, mat);
printf("입력한 점수의 총점은 %5.1f 입니다.\n", kor + eng + mat);
ave = (kor + eng + mat) / 3. ;
printf("입력한 점수의 평균은 %5.1f 입니다.\n", ave);
}
정수로 입력을 했지만 %f(실수)로 출력을 하기 때문에 소숫점 6자리까지 표현하여 출력한다.
예제2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stdio.h>
void main(){
char name[10];
char address[30];
puts("이름을 입력하시오.");
scanf("%s", name); /* gets(name); 로 써도 된다 */
puts("주소를 입력하시오.");
scanf("%s",address); /* gets(address); 로 써도 된다 */
printf("이름은 %s이고, 주소는 %s입니다. \n",name,address);
}
(1)관계연산자
조건을 비교할 때 많이 쓰이는 연산자로서 결과는 참(1),거짓(0)으로 나타낸다.
예제
#include<stdio.h>
void main(){
int a,b,c;
a = 10;
b = 5;
c = a > b; 10>5 가 참인가 거짓인가
printf("%d \n", c); 참1
c = a < b; 10<5
printf("%d \n", c); 거짓0
c = a == b; a와b가 같은가
printf("%d \n", c); 거짓0
c = a != b; ' != ' 는 같지않다는 뜻
printf("%d \n", c); 참1
}
'C언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8/25 C언어 공부 (6회차) (0) | 2022.08.25 |
---|---|
2022/08/23 C언어 공부 (5회차) (0) | 2022.08.23 |
2022/08/18 C언어 (3회차) (0) | 2022.08.18 |
2022/08/17 C언어 (2회차) (0) | 2022.08.17 |
2022/08/16 C언어 첫 공부 (1회차)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