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분투에 nas시스템을 이식하면서 파티션의 잔여용량을 확인하는방법을 찾아서 기록을 해 놓는다.
- 전체 용량 확인 (KB, GB) -
df -P | grep -v ^Filesystem | awk '{sum += $2} END { print "full capacity(KB) : " sum " KB" }'
df -P | grep -v ^Filesystem | awk '{sum += $2} END { print "full capacity(GB) : " sum/1024/1024 " GB" }'
- 사용 가능 용량 확인 (KB, GB) -
df -P | grep -v ^Filesystem | awk '{sum += $4} END { print "usable capacity(KB) : " sum " KB" }'
df -P | grep -v ^Filesystem | awk '{sum += $4} END { print "usable capacity(GB) : " sum/1024/1024 " GB" }'
- 사용 용량 확인 (KB, GB) -
df -P | grep -v ^Filesystem | awk '{sum += $3} END { print "used capacity(KB) : " sum " KB" }'
df -P | grep -v ^Filesystem | awk '{sum += $3} END { print "used capacity(KB) : " sum/1024/1024 " GB" }'
반응형
'개인 서버(도커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20.04 개인키 인증 (putty 인증) (0) | 2023.11.23 |
---|---|
국비교육생 추천!! 스프링 프레임워크 + 깃허브액션 CI/CD 파이프라인 배포 (2) (깃허브 액션 구성) (0) | 2023.10.03 |
국비교육생 추천!! 스프링 프레임워크 + 깃허브액션 CI/CD 파이프라인 배포 (1) (공부일지, gradle빌드) (2) | 2023.10.03 |
톰캣서버 오라클db jdbc로 연동 (JSP) (0) | 2023.05.23 |
시놀로지 도커 Tomcat8.5 서버구축 (0) | 2023.05.07 |